.
안녕하세요 뽀우입니다:)
최근 몇 년 사이 바다 낚시터나 해안가에서 심해 산갈치가 자주 발견되면서 "멸망 징조", "지진 전조", "기후 이상" 같은 불안한 이야기들이 돌고 있습니다. 실제로 사람들이 많이 검색하는 키워드에는 "심해 갈치 이유", "심해어 지진", "심해 갈치 불길", "심해 갈치 먹어도 되나", "바다 온도 변화", "심해 갈치 출몰 이유", "기후 변화 바다 생물", "지진 전조 현상", "갈치 생태계 변화", "심해 갈치 괴담" 등이 있습니다. 과연 이 현상은 우리가 걱정해야 할 일일까요?

- 심해 산갈치, 왜 자꾸 올라오는 걸까?
심해 갈치는 일반적으로 수심 200~1,000m에서 서식하는 깊은 바다 생물입니다. 그런데 최근 연안에서도 발견되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해양 수온 상승입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해양 온도 변화가 생기면, 심해어들도 평소보다 얕은 곳으로 이동해 서식지를 옮깁니다.
둘째, 해저 지진 활동입니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지진 전에 심해어가 해안으로 올라온 사례가 다수 보고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출몰이 지진으로 연결되는 건 아닙니다.
셋째, 인간 활동의 영향입니다. 바다의 소음 공해, 해저 채굴, 어획 등도 이들의 이동 경로에 변화를 줍니다.

- 멸망 징조라는 말, 믿어도 될까?
'심해 갈치가 올라오면 재앙이 온다'는 이야기는 과거 일부 사례에 기반한 추측일 뿐, 과학적 근거는 희박합니다. 물론, 지진 활동의 일부 징후일 수는 있지만 그것만으로 대재앙을 예측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 심해 갈치, 먹어도 괜찮을까?
사실 심해 갈치는 일반 갈치와 다르게 생긴 외모 때문에 기피되는 경우도 있지만, 식용으로는 문제 없습니다. 다만 일부 심해 생물은 수은 농도가 높을 수 있어 자주 섭취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조리 전 선별과정에서 전문가의 확인이 필요한 이유죠.
심해 갈치의 출몰은 이상 현상이긴 하지만, 단순히 ‘재앙의 징조’로만 해석하기보다는 기후 변화와 해양 생태계 변화의 신호로 이해하는 것이 더 합리적입니다. 자연의 변화를 예민하게 감지하고 대응하려면, 공포보다는 과학적 접근이 필요하겠죠.
'지구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왜 더울까? 대구가 더운이유?(대프리카) (8) | 2024.05.23 |
---|---|
비행기가 난기류를 만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 (7) | 2024.05.22 |
난기류란 무엇일까? 난기류 발생 원인은? (4) | 2024.05.22 |
겨울에 눈이 내리는 이유는? (0) | 2023.10.09 |
가을에 단풍잎이 생기는 원인과 요인?! (0) | 2023.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