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09)
초보자도 쉽게 알수있는 엘리엇파동 안녕하세요!! 뽀우입니다^^ 오늘은 엘리엇파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엘리엇파동이란? 엘리엇 파동은 미국의 경제 철학자인 랄프 넬슨 엘리어트 씨가 확립한 분석 이론입니다. 장세에 패턴이 어느 사이클을 반복하며 움직인다는 엘리엇의 이론에 의해서 확립되었습니다. 현재는 많은 중개인들이 환율의 방향을 가늠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분석 방법의 하나입니다. 엘리엇 파동의 기본형은 추진 5개 수정 3개입니다. 예를 들면 시세가 상승세의 경우 5개의 파동을 그리며 상승하고 3개의 파동을 그리며 하강합니다. 반대로 시세가 하강 트랜드의 경우 5개의 파동을 그리며 하강하는 3개의 파동을 그리며 상승합니다. 엘리엇 파동의 기본형은 "추진 5개 수정 3파"입니다. 상기의 화상은 상승 경향 시 엘리엇 파동입니다. 1부터 5의..
지구과학의 기초 대기!! 안녕하세요!! 뽀우입니다^^ 평소 아무 문제 없이 생활하고 있다고 별로 의식하지는 않겠지만 우리는 공기 덩어리 밑에서 살고 있습니다. 그 공기 덩어리를 대기라고 합니다. 일기 예보에서 자주 듣는 기압은 공기 덩어리의 무게입니다.지구과학의 기초 대기에 대해 기본적인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1,대기의 구조 대기는 행성과 위성의 중력에 의해서, 그것들의 주위에 붙잡힌 기체의 일종 입니다. 대기가 존재하는 영역을 대기권이라 하고 있습니다. 태양계에서 지구 외에도 여러 행성과 위성에 대기가 존재하고 있으며, 각각의 대기는 고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 대기권은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눠져 있고 상층에 가면서 대기는 거의 없어지고 우주 공간과 공존하고 있습니다. 지상에서 고도 11㎞까지는 대류권..
내돈내산!! 실버스타OIC 와플팬 안녕하세요!! 뽀우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제품은!! 내돈내산 실버스타OIC 와플팬 입니다! 집콕시대 필수템으로 손꼽히는 와플팬~ 와플메이커를 선물받아서 아주 잘 사용하고 있었는데 세척을 하다 긁혀서인지 눌러붙더라고요ㅜㅜ 그래서 고민하다가 공구템으로 유명한 실버스타 와플팬으로 구입했어요~ 와플팬과 전용 수세미가 있는 세트로 내돈내산~~!! 오자마자 크로와상 냉동 생지 먼저 꺼내두고 와플팬 세척 후다닥하고 크로플 만들 준비를 했어요ㅎㅎ 와플팬 사이즈는 식빵이 들어가는 사이즈라고 봤는데 상자를 뜯어보니 생각보다 작더라고요ㅎㅂㅎ 손바닥으로 재보니 손바닥보단 컸어요ㅎ 집에 있는 비빔면이랑도 비교해보니 사이즈가 딱! 이였어요>< 좀더 컸으면 무거워서 자주 사용 못했을거 같기도..ㅎ 90도로 열려서 사용도 편하고..
우주의 신비 블랙홀의 수수께끼 안녕하세요!! 뽀우입니다^^ 광활한 우주 블랙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916년 독일의 천체 물리학자 카를 슈바르츠 실트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의 방정식에서 세계 최초로 블랙 홀 이란 천체의 존재를 알아 냈습니다. 그 뒤 전파와 적외선, 가시 광선, X 선 등 다양한 파장의 빛을 사용하고 우주를 관측할수 있게 되면서 거의 모든 은하의 중심에는 매우 강한 중력으로 모든 것을 빨아들이면서 성장하는 블랙 홀이 실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블랙 홀을 이해하는 것은 은하, 나아가서 우주의 성립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수많은 천문학자가 블랙 홀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1,블랙 홀은 어떤 천체일까? 여기에서는 항성 수준 질량의 블랙 홀에 초점을 맞추어 봅시다. 모든 항성은 우리와 같이 수명이 있..
지구와 가까운 친구 금성!! 안녕하세요!! 뽀우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금성입니다!! 금성은 지구의 바로 안쪽을 도는 행성에서 지구에 가장 근접 행성이기도 합니다. 직경은 지구의 0.95배, 무게는 지구의 0.82배로 크기,무게도 지구와 많이 닮았어요. 그 내부 구조도 지구와 거의 같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지표에서 깊이 약 30km까지 규산염으로 구성된 지각이 있고 그 밑에는 규산염의 맨틀이 있습니다. 중심에는 금속 철 니켈로 된 핵이 있습니다. 이렇게 보니 지구와 비슷하죠?! 그럼 금성에 대해 더 정확히 알아보러 가시겠습니다!! 금성은 태양 에서 2번째 행성이고 6번째로 크죠. 태양으로부터의 거리:108,200,000 km, 지름:12,103.6 km, 질량은 지구보다 0.815배 정도 됩니다. 금성의 궤도를 보면 태양계의 행성..
광활한 우주 북극성 넌 누구니?(작은곰자리) 안녕하세요!! 뽀우입니다^^ 오늘은 북극성의 특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릴때 베란다에서 밤하늘을 바라보며"북극성"을 찾아 본적은 없나요? 어쩌면 지구과학 수업에서 배운 분도 많을지도 모르겠네요. 북극성은 말 그대로 북에 있는 밝은 별입니다. 기본적으로 위치가 거의 바뀌지 않아 오래 전부터 올바른 방향을 찾는 밤하늘의 표시로 이용되어 왔습니다. 이번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북극성에 대해서, 재차 그 정의나 북극성을 찾는 법, 심지어는 의외로 가까운 북극성과 신앙 관계에 이르기까지 상세히 소개하겠습니다. 1,북극성이란?! 북극성이란 말 그대로 하늘의 북쪽 가장 가까운 밝은 별을뜻하고, 항상 북에서 빛나고 있고 작은곰자리에서 꼬리 끝쪽에 있는 별입니다. 고대보다 올바른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이용되어 왔다고..
지구 46억년의 역사와 진화!! 안녕하세요! 뽀우입니다^^ 오늘은 지구의 역사와 진화스토리를 알아보겠습니다! 지구상에는 약 870만종의 생물이 있다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태양계의 천체와 비교해도 지구는 풍부한 생명에 넘친 행성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러나 탄생한 직후의 지구는 온도가 1,000℃ 이상의 마그마로 덮어 생명은 정말 존재할 수 없는 환경이었습니다. 지구의 46억년의 역사 속에서 환경은 크게 변화하고 그 안에서 생명은 씨앗의 멸종과 진화를 거듭하면서 현재까지 연결되어 왔습니다. 이번에는 지구와 생명의 역동적인 역사를 소개하겠습니다. 처음의 생명은 바다 속에서 태어났을까요? 바다는 44억년 전에 탄생했다고 보여집니다. 그러나 바다는 44억년 동안 존재했던 것은 아닙니다. 수킬로미터 정도의 크기의 미행성이 지구에 자주 충돌했으며..
초거대 적란운 "슈퍼 셀"이란? 안녕하세요!! 뽀우입니다^^ 오늘은 초거대 적란운 슈퍼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여름이 되면 게릴라 호우(국지성 호우)를 보는 것이 많아졌습니다. 게릴라 호우는 강의 범람, 도로 침수, 교통 영향 등 심각한 피해를 줍니다. 이 게릴라 호우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는 것이 "슈퍼셀" 적란운의 일종입니다. 그럼 슈퍼셀 발생의 구조를 알아보기전에 적란운의 발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여름에는 기온이 높아지고 맑은 날씨가 이어지면 지표면 근처 공기가 급격히 가열됩니다. 따뜻하게 습기 찬 공기는 상승하고 차가운 공기와 섞여 적란운이 발생합니다. 1개의 적란운은 싱글셀로 불리며 거대한 적란운은 슈퍼셀로 불립니다. 싱글셀이 여럿 모여서 큰 적란운이 되는 것도 있지만, 슈퍼셀이 되려면 몇가지 조건이 필..